투자에서는 정답이 없습니다. 처음 투자하는 초보 투자자가 오랜 고수를 이기는 곳이 투자영역이죠. 하지만 운에 의한 성공은 오래 지속되지 않습니다. 장기적으로는 결국 내공이 있는 고수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내죠. 그럼 오늘은 (자본주의가 망하지 않는 한) 지속되는 부동산 공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요와 공급
중학교때부터 배운 수요-공급법칙은 부동산에도 적용됩니다. 아무리 좋은 곳도 공급 앞에서는 장사 없습니다. 부동산 투자에서 가장 큰 요소는 수요와 공급입니다. 어렵게 생각하실 거 없이 실제 투자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가장 잘 이용하는 사이트인 부동산 지인입니다. 여기서 수요공급을 보시면 수요와 공급의 양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부동산 지인 (서울 차트) |
저번 글에도 이야기했듯이 대부분 사람들이 서울 부동산은 계속 상승 최소 보합이라고 판단하는 이유 중 하나가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다는데 있습니다.
수요와 공급을 말할 때 가장 좋은 차트가 바로 대구입니다. 수요-공급에 맞춰 가격이 비례해서 변하게 됩니다. 2012년도 공급이 부족하자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2019년 공급이 오르자 가격이 떨어지고 다시 가격이 상승하다가 22년부터 공급량이 터지기 시작합니다. 올해부터 대구는 주의깊게 봐야될 것 같습니다.
이런식으로 공급이 부족한 지역을 연구하시거나 아니면 반대로 내가 투자할 지역의 공급량을 확인해 보면서 리스크를 줄이시면 됩니다.
2. PIR
조금 어려운 용어가 나왔습니다. PIR은 Price Income Ratio 입니다. 쉽게 말해서 사람이 한푼도 안쓰고 돈을 모았을 때 집사는데 몇 년이 거릴는 지 알아보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 연봉 4000만원인 사람이 4억짜리 집을 산다고 하면 PIR은 10이 되는 것입니다. PIR은 개인의 연봉과 주택 가격마다 수치가 너무 달라지기 때문에 보통 연봉과 주택가격은 중간 값(3분위)을 가지고 계산합니다.
만약 서울 지역의 PIR을 구한다고 하면 서울 인구 연 평균 소득에 평균 집 값을 나눠서 계산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알 수 있는 것이 주택의 가격이 적절한가? 집값 거품에 대한 답을 할 수 있습니다.
PIR를 확인하는 방법은 부동산 지인 사이트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멀티차트에서 보조지표 PIR을 체크하시면 됩니다.
|
출처 : 부동산 지인 |
서울 지역은 공급은 부족하지만 PIR로 보면 상당히 올라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평균 10정도여서 지금은 20을 넘었습니다. 이 데이터는 서울 평균 집 값은 평균 임금을 받는 근로자에게는 비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울 집값이 무한정 오를 수는 없다. 서울 집값은 더 오르기는 쉽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출처 : 부동산 지인 |
반대로 거제 PIR을 확인해보면 거제 평균 pir은 대략 4.5 정도였습니다. 그러다가 조선경기가 나빠지고 공급이 터지자 현재는 3.2까지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제는 지금 사람들이 집을 살만한 가격이구나를 알 수 있습니다. 거품은 거의 없구나라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PIR이 평균보다 낮다면 투자하기에 리스크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교통
교통의 끝판왕은 지하철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지하철은 수도권 지하철입니다. 지방은 보통 차로 30분 내외로 거의 이동이 가능하고 자차를 대부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
지하철 호재를 보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제가 추천하는 방법은
- 호갱노노로 노선을 보고
- 나무위키로 진행방향의 큰 흐름을 알고
- 정확한 정부의 공식 발표를 확인 하는 것입니다.
|
출처 : 호갱노노 |
(패치되서 호재를 볼려면 아래 링크를 따라서 호재를 보셔야됩니다)
https://taxplanet.tistory.com/m/237
지도를 보시면 청라 신도시에 7호선이 연장되는 호재가 있네요. 여기는 어디까지나 개발계획이기 때문에 실제로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살펴 보아야 합니다. 개발이 엎어지거나 몇 년씩 진행이 더디는 경우는 많기 때문이죠.
|
출처 : 나무위키 |
원래 알고 있었던 호재가 아니면 처음부터 뉴스기사로 살펴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나무위키로 보면 개발호재에 대해서 정리가 되어있습니다. 여기서 나온 주요 뉴스를 따라서 개발현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
출처 : 국토부 검색결과 |
마지막으로 해당 내용이 정부나 개발주체가 발표한 내용인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정도면 개발호재가 언제반영될지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4. 학군과 상권
학군과 상권이 중요한 이유는 일단 한번 자리잡으면 어느정도 시간까지는 유지되고 생각보다 그곳에 오래 살아야 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학교에 들어가게 되면 생각보다 전학이 쉽지 않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웃돈(?)을 주더라도 좋은 곳으로 갈려는 수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상권도 마찬가지로 한번 형성되면 큰 변화(신도시, 대형상업시설, 교통의 변화 등)가 있지 않은 한 중장기적으로 유지됩니다. 유해시설이 아닌 좋은 상권(스타벅스, 학원가, 병원 등등)이 형성된 지역도 비싼 가격을 지불하더라도 들어올려는 수요가 있습니다.
학군과 상권을 보는 방법 중 가장 좋은 것은 직접 가보는 것입니다. 확실히 지도로 보는 것과 직접가서 눈으로 확인하는 것은 느낌이 다르죠. 그래도 대략적인 분위기를 알기 위해서는 호갱노노앱과 로드뷰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출처 : 호갱노노 |
송도 지역에 상업시설 분포도 입니다. 상업지역이 몰려 있는 곳이 상권이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죠.
|
출처 : 네이버 지도 로드뷰 |
실제 로드뷰로 보니 현대아울렛, 테크노마트역 등이 몰려 있는 좋은 지역이네요. 술집, 유흥가 보다는 이런지역이 좋은 상권일 확률이 높을 겁니다.
|
출처 : 호갱노노 학원가 |
마지막으로 학원가 밀집지역입니다. 학원가 밀집지역이 학군이 좋을 확률이 높습니다. 인천 송도지역은 인천에서 학원가가 가장 밀집한 지역이네요. 학군이 좋을 확률이 높을 겁니다. 디테일한 학군은 맘카페나 중학교, 고등학교 위치 등을 보시면 학군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5. 개발 호재
마지막으로 개발 호재입니다. 개발 호재의 종류는 많습니다. 어떤 지역은 산업단지가 들어올 수도 있고, 공항건설, 신도시 개발 등등이 있습니다. 이런 개발 호재는 너무 많고 계획 단계에서 무산되거나 실행되는데 까지는 몇 년 또는 몇 십년이 걸리는 경우도 있죠.
|
출처 : 네이버 뉴스 검색 |
이런 호재는 뉴스를 통해서 찾고 개발주체의 공식자료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찾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개발 호재를 마지막에 넣은 이유는 개발의 진행이 정치적 경제적인 이유로 언제든지 뒤집어 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좋은 반도체 시장이 갑자기 안 좋아 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추진 중인 삼성전자의 평택공장의 계획은 큰 차질이 생길 수 있고 호재만 보고 투자했던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개발호재는 곱하기라고 생각합니다. 위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안전마진(충분히 싼 가격)을 확보한 지역에 이런 개발호재까지 있다면 수익은 곱하기로 증가하기 때문이죠.
장기적인 수익을 결정짓는 인문학적(?) 소양
장기적인 투자를 위해서 인문학적 소양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자본주의 시스템과 인간의 본능에 대해서 공부한다면 정답이 없는 투자의 세계에서 좋은 이정표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역사 특히 금융, 경제에 대한 역사를 공부한다면 왜 투자를 해야하는지. 자본주의에서 노동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자본주의에서 기업가가 왜 가장 중요한지. 레버리지(대출)을 왜 써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소양이 결국 장기적인 투자자를 만들어 주기 때문이죠.
마무리
지금까지 저만의 부동산 공부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른 분들이 대부분 이야기해 주신 내용일겁니다. 큰 부를 이루거나 꾸준하게 수익을 내시는 분들을 보면 생각보다 특별한 것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특별한 경우는 대부분 사**이거나 그 사람만 가능한 경우가 높습니다)
수요-공급, PIR, 학군과 상권, 교통, 개발호재 등만 보더라도 전국을 다보는데 시간이 부족하실 겁니다. 대신 이런 기준을 가지고 부동산을 계속 보시다보면
이게 왜 이렇게 싸지?
라는 느낌적인 느낌(?)이 오실 때가 있으실 겁니다. 저는 그때가 투자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투자는 (남들이 관심 없을 때) 싸게 사서 본래의 가치를 찾을 때까지 인내하는 것이니까요!